[글 분류에 주의할 것]

부제 - 이제 시작하려고 하는 작가 지망생들에게 해 주고 싶은 이야기
(생각날 때마다 몇 마디씩 덧붙일 듯)

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유일무이한 졸작(!) <타나토노트>에 등장하는 모 신문기자 씨는 상상을 초월하는 기억력을 지니고 있다.

그는 왜 창작을 하지 않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고 한다(약간의 편집-이라고 쓰고 왜곡이라고 읽는다-이 들어간다).

"나라고 왜 안 해 봤겠어. 그런데 글을 쓰다 보면 '어, 이건 어느 책의 어느 부분에 나오는 어느 문장인데' '어 이건 모월 모일 모시에 누군가가 한 말이잖아' 식으로 전부 다 기억이 나 버리는 거야. 환장한다고."

----

이영도의 신작 <피를 마시는 새>에 등장하는 이, 원시제 그리미 마케로우는 숙성에 필요한 시간을 제대로 얻지 못한 어린 천재로 자라났고, 그 결과 요절해 버렸다.

----

당신은 아직 젊다. 물론 나도 아직 젊다. 무엇을 그렇게 조바심치고 있나. 시간은 많고, 우리는 적당히 잊으며 살 수 있는 복 받은 사람들이고, 우리의 재능 쪼가리라고 해 봤자 작은 것이니 활짝 피어나기를 느긋하게 기다려 볼 수 있는 여유도 있다. 때때로 김매고 물을 주며 거름치고 벌레도 잡아주면서 돌볼 필요는 있지만, 재능을 키우는 건 팔할이 시간이다.

성장과 노화는 같은 말이다.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이 형이상학적인 가치라면 더욱 그러하다.

하물며 재능에서랴.

'소설은 불혹의 장르'라는 말이 있고, '경험은 만물의 아버지'라는 말도 있다.
----

잘 쓴 글을 읽으면서 나도 글을 잘 쓰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겠지만, 그것이 하루이틀에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면 그건 어리광에 불과하다.

감히 1000년에 한 번 날까말까 한 천재가 되기를 꿈꾸다니.

비평은 겸허히 수용하되, 부끄러워하지 말자. 대부분의 비평은 내 글에서 뭔가 가능성을 보는 사람이 있다는 뜻으로 받아들이자. 싹수가 노랗게 피어나면 그 싹은 뽑아서 밭에 거름으로 던져버리는 법이다.

물론 가끔 남의 멀쩡한 밭에 아직 여리게 피어났을 뿐인 싹을 밟거나 뽑지 못해서 안달인 미친 놈들이 한둘은 있기 마련이다. 그러니까 악플은 무시하자. 다행히도 한 번 씌어진 글은 쓴 사람이 아닌 한에야 완전히 없애버리는 건 불가능하니까.

----

습작은 많으면 좋다. 하지만 습작 단계의 글을 가지고 자신의 천재성을 발굴(이라고 쓰고 착각이라고 읽는다)해내는 우를 범하지 말자. 물론 예외 없는 법칙은 없는 법이지만, 예외를 깨는 건 그야말로 천재들만이 할 수 있는 것. 아까도 말했지만, 감히 1000년에 한 번 날까말까 한 천재를 꿈꾸다니.

글의 완성도와 재미는 별개로 봐야 한다. 완성도는 높은데 딱딱한 글이나 재미있는데 완성도가 떨어지는 글은 아쉬움을 준다. 짜임새 있고 재미있기까지 하면 황홀해지며 재미없는 게 허술하기까지 하면 집어던지고 싶어지기 마련이다.

다행히도 나는 실제로 집어던진 글이 나 자신이 옛날에 썼던 글밖에 없다. :)
물론 S대 이 모양의 책은 샀으면 정말 집어던졌을지도 모르지만(...)

----

적극적으로 자신의 글을 홍보하라. 자랑하기 위함이 아니라 조언을 얻기 위함이다. 열 명의 정성어린 독자는 습작기간을 반으로 줄여줄 것이다.

----

주1. 나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다른 작품들을 높게 평가하지만, 저것 하나만큼은 자신있게 졸작이라고 부른다. 종종 나는 <타나토노트>가 베르베르의 이름을 빌린 위작이 아닌가 싶은 생각까지도 해 봤었다. 물론 문체에서 드러나는 갖가지 유사성, 비슷한 서사 구조 등에서 그의 개미 3부작과 타나토노트는 동일인의 저작으로 추정되기는 한다.

주2. 곧 연재 시작한지 만 1년이 되는 <피를 마시는 새>이지만, 아직도 완결되지 않은 이야기임으로 신작이라고 해봤다. :)

주3. 이 이글루에 오는 사람들 대부분이 나보다는 젊을 거라고 생각한다. 물론 나보다 연륜 있으신 분들도 보이지만, 그분들도 솔직히 '나이먹었다'라고 말할 연배는 아니신고로 :)

주4. "살아간다는 것은, 죽어간다는 것과 완전히 같은 말이다."
by hislove 2004. 12. 19. 08:15